풍력에너지(발전기 제조업체) 풍력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가장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좋기 때문에 각광받는 에너지원임. 풍력발전단지의 핵심인 풍력발전기를 생산하는 업체군.
1 유니슨 (01800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타 기관 및 터빈 제조업
- 1984년 9월에 설립되어 풍력발전기, 풍력발전용타워 제품 등의 제조 및 설치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750㎾ 및 2㎿ 풍력발전 시스템과 풍력발전타워 등 풍력발전기 완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외에 판매, 설치하며,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 및 운영, 유지보수 사업도 영위함.
- 국내 최초로 강원풍력발전단지(98㎿)와 영덕풍력발전단지(39.6㎿) 등을 최대 규모의 상업용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풍력발전기,풍력발전타워 제조,발전단지건설,설계용역,유지보수
풍력발전기 전문 기업종목내용수정
|
2 효성 (00480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합성섬유 제조업
- 화학 섬유류의 제조, 가공 및 판매, 수출입업 및 대행, 전자기계 기구 및 부품의 제작/판매업 그리고 전기기기 제조 및 판매업과 토목건설업, 금융업 등을 영위.
-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등의 부문을 통해 매출을 확보하는 가운데 산업자재와 중공업의 매출 비중이 높은 수준이나 고른 매출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스판덱스의 Creora 부문에서는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베트남, 브라질 등 해외 공장 증설로 경쟁력 유지.
종목내용수정
|
3 한국조선해양 (00954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비철금속 선박 및 기타 항해용 선박 건조업
- 상선 비중이 높은 선박 건조 업체로, 플랜트, 엔진, 정유, 전기전자 등 다양한 비조선 부문으로 다각화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현대삼호중공업(주), (주)현대미포조선, 현대오일뱅크(주), (주)현대힘스, (주)호텔현대 등 국내외 60개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 2016년 11월 조선/해양/엔진 부문의 존속기업과 비조선 신설기업(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투자, 그린에너지, 서비스)의 6개사로 사업분할을 결정.
구 현대중공업
종목내용수정
|
4 삼성중공업 (01014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강선 건조업
- 선박 건조 및 해양플랜트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며, 이를 통해 전체 매출의 99% 이상이 발생함. 일부 건설업도 영위하나 매출 비중은 미미한 수준임.
- LNG선, 드릴쉽, 초대형컨테이너선, FPSO, 해양플랫폼 등 다양한 선박 건조 능력을 보유하였으며, LNG선과 초대형 컨테이너선 부문에서 글로벌 점유율 1위를 확보.
- 2015년 10월 이후 2016년 6월 말까지 신규 수주를 기록하지 못하는 등 극심한 수주 부진에 시달린 바 수주 잔고 역시 크게 감소하였음.
2016년 상반기 수주 실적 전무함
선박(벌크선,원유운반선),철구조물,에너지플랜트 생산,판매/토목건축업종목내용수정
|
5 두산중공업 (03402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타 기관 및 터빈 제조업
- 1980년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되었으나, 민영화 방침에 따라 두산그룹에 인수되어 2001년 현 상호로 변경되었음.
-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설비, 해수 담수화플랜트, 환경설비, 운반설비 등을 제작하여 국내외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고 건설중장비, 공작기계, 엔진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임.
- 두산인프라코어(주), 두산엔진(주), 두산건설(주), Doosan Power Systems S.A., HF Controls Corp. 등 국내외 다수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종목내용수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