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Shale Gas) 셰일가스(shale gas)란 모래와 진흙이 쌓여 굳으면서 생성되어 지하 퇴적암 셰일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임. 셰일가스는 과거 경제성이 낮아 채굴하지 않았지만 채취기술이 발달하여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량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음. 미국은 FTA 체결국에 우선적으로 셰일가스를 수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한-미FTA 발효로 미국산 셰일가스를 수입할 수 있게 되었음. 이와 관련, 셰일가스를 채굴 및 개발, 운송, 보관하는 것과 관련된 기업들이 관련주로 부각. (단, 셰일가스 개발은 장기적 관점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직간접적인 수혜 정도도 업체마다 큰 차이가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가 필요함)
1 한국가스공사 (03646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천연가스 도입 및 도매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정부출자 공기업.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
종목내용수정
|
2 SH에너지화학 (00236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 가공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58년 설립되어 EPS레진과 Nylon-12 Fine Powder 등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음.
- 사업부문은 합성수지 등의 제조 부문과 자원개발, 금융투자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 제조 부문을 통해 대부분의 매출 발생.
- 자산운용의 효율성 제고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하여 경기도 평택시 모곡동에 위치한 토지와 건물을 2016년 2월 처분하였음.
종목내용수정
|
3 GS글로벌 (00125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상품 종합 도매업
- 1954년 국제무역을 전문으로 하는 금성산업(주)로 설립된 후 쌍용그룹에 인수되었으며, 2009년 GS그룹으로 인수되며 현 상호로 변경되었음.
- 수출입업 및 동 대행업, 국내외상사 대리점업, 수출입품의 판매업 및 위탁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산업재 부문과 수입유통 부문으로 구분됨.
-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GS Global Japan Co., Ltd., GS Global Australia Pty Ltd., (주)지에스엔텍 등을 보유하고 있음.
종목내용수정
|
4 두산중공업 (03402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타 기관 및 터빈 제조업
- 1980년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되었으나, 민영화 방침에 따라 두산그룹에 인수되어 2001년 현 상호로 변경되었음.
-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설비, 해수 담수화플랜트, 환경설비, 운반설비 등을 제작하여 국내외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고 건설중장비, 공작기계, 엔진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임.
- 두산인프라코어(주), 두산엔진(주), 두산건설(주), Doosan Power Systems S.A., HF Controls Corp. 등 국내외 다수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종목내용수정
|
5 비에이치아이 (08365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증류기,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제조업
- 보일러, 복수기, 열교환기, 탈수기 등의 발전설비 제조와 시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경남 함안에 본사 및 2개 공장을, 경남 사천에 공장을 두고 있음.
- 주요 매출처는 한전을 비롯한 전력회사와 발전 사업자, 대형 건설사, 포스코 등 제철 업체들이며, 그 밖에 해외 전문 업체나 EPC 업체에 판매함.
- 인도네시아 생산법인 PT Bum Woo Heavy Industry INDONESIA와 태국 판매법인 BHI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종목내용수정
|
6 S&TC (10084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증류기,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제조업
- 2008년 2월 (주)S&T홀딩스의 제조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열교환기 및 배열회수보일러의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음.
- 석유화학, 석유정제 및 가스 플랜트에 사용되는 공랭식열교환기와 복합화력발전소용 배열회수보일러,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용 복수기, 탈질설비 등을 주로 생산함.
- 모든 제품에 대한 자체 설계 및 제작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력제품인 공랭식열교환기의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종목내용수정
|
7 한국카본 (01796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설치용 금속탱크 및 저장용기 제조업
- 1984년 9월 설립되어 낚싯대용, 스포츠레저용 및 항공기 부품소재용 카본프리프레그 및 LNG운반선용 단열 패널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업체임.
-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국내 조선 3사에 단열보냉재를 공급 중으로 LNG 운반선 단열보냉재는 동성화인텍과 동사가 독과점적인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음.
- 카본프리프레그는 동사가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1984년 회사 설립 이후 국내 카본프리프레그 산업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동사 41%, SK케미칼 34%가량임.
종목내용수정
|
8 동성화인텍 (03350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 액화 천연가스용 초저온 보냉재 및 청정소화약제 등의 제조, 판매사로 설립되어 PU단열재 사업부문 및 가스 사업부문으로 나누어 사업 영위 중임.
- PU단열재 사업부문은 초저온보냉재, PU SYSTEM, 샌드위치 패널 사업부문으로 가스 사업부문은 냉매, 방재 시스템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 초저온 보냉재 시장에서 국내시장 점유율이 약 55%로 추정되어 동사는 국내시장 점유율 1위, 세계 1위의 초저온 보냉자제 일관생산 시스템을 확보하고 있음.
종목내용수정
|
9 우림기계 (10117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제조업
- 2000년 3월 설립되어 제철설비, 에너지, 건설, 운반하역, 플랜트용 산업용감속기 및 건설장비용 기어박스인 트랜스미션 생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 산업용 감속기 관련 주 매출처는 포스코, 현대제철, HITACHI, MITSUBISH 등이며, 트랜스미션 주 고객사는 두산모트롤BG, 현대중공업, NABTESCO, KOBELCO 등임.
- 굴삭기 트랜스미션용 유압장치에 관한 특허 취득으로, 이를 건설중장비용 트랜스미션 및 감속기 생산에 적용해 독자 기술력 확보와 판매 제품 다변화 및 제품 경쟁력 강화.
종목내용수정
|
10 SK가스 (01867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체연료 및 관련제품 도매업
- 1985년 12월 설립된 SK그룹 계열회사로, 액화석유가스(LPG)의 수입 및 저장,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등 중동 국가들로부터 장기공급계약 형태로 LPG를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 업체, LPG 충전소 등에 납품함.
- 국내 LPG 시장은 전체 수요의 60% 정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동사와 E1의 2개 업체가 수입을 담당하는 안정적 지배구조를 보임.
종목내용수정
|
11 한국전력공사 (01576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발전업
개성공단에서 대북 송전을 하고 있음. 16년2월 우리 정부가 북한 핵실험/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개성공단 폐쇄.
종목내용수정
|
12 포스코대우 (04705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상품 중개업
- 2000년 12월 (주)대우의 무역 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11월 포스코 기업집단의 계열사로 편입되었음.
- 철강, 금속, 자동차부품, 플랜트 등의 무역 부문과 천연가스, 니켈, 구리, 유연탄, 오일팜 등의 자원개발 부문 그리고 섬유, 면사, 제지 등의 기타 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포스코와의 철강 비즈니스에서 연간 400만 톤 이상의 판매체제를 구축하는 등 안정적인 제품 공급선을 확보하였으며 건설, 소재, IT, 플랜트 등 그룹사와 시너지 확산 중.
종목내용수정
|
13 E1 (017940) 종목토론 | 챠트 | 공시검색 |
 기체연료 및 관련제품 도매업
- 1984년 9월 설립된 LS그룹 계열회사로, 액화석유가스(LPG)의 수입 및 저장, 충전 및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국내 LPG 시장은 동사와 SK가스의 수입/판매 업체들과 GS칼텍스, SK에너지, S-OIL 등의 국내 정유 업체들이 경쟁하며, 동사가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중동 산유국들과 장기공급계약 형태로 LPG를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 업체, LPG 충전소 등에 공급함.
종목내용수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