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 원자력발전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 두산중공업 034020 기타 기관 및 터빈 제조업
- 1980년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되었으나, 민영화 방침에 따라 두산그룹에 인수되어 2001년 현 상호로 변경되었음.
- 원자력, 화력 등의 발전설비, 해수 담수화플랜트, 환경설비, 운반설비 등을 제작하여 국내외 플랜트 시장에 공급하고 건설중장비, 공작기계, 엔진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임.
- 두산인프라코어(주), 두산엔진(주), 두산건설(주), Doosan Power Systems S.A., HF Controls Corp. 등 국내외 다수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 한전KPS 051600 일반전기 공사업
- 1984년 설립되어 발전설비 운전 및 정비 사업을 영위하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로, 화력 사업, 원자력/양수 사업, 송변전 사업, 대외 사업, 해외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 국내 5개 발전회사 및 한수원과 경상정비계약을 체결하고 발전소마다 상주 사업소를 두어 발전소 경상정비 용역 및 발주 공사를 수주하고 있음.
- 국내 발전설비 정비 시장에서 화력 부문 61%, 원자력 부문 76%, 양수 부문 84% 등의 독보적인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 경쟁력 우위로 안정적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 한전기술 052690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설계 부문에 경쟁력을 보유한 엔지니어링 서비스 업체로,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로에 본사를 두고 있음.
- 주요 업무는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열병합 및 복합화력 포함)의 설계 용역, O&M 용역, 해외 원전 등의 설계용역 및 플랜트 시공임.
- 주요 발주처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디에스파워 등이며, 한국수력원자력이 발주하는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용역 업무를 독점적으로 수행함.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4 에너토크 019990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
- 자동조정 및 제어장비 제조,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여 1987년 5월에 설립되었음.
- 발전플랜트, 상하수도 시설, 정수장, 가스회사, 조선소 및 제철소 등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와 감속기의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음.
- 국내에 2개 지점, 14개 대리점의 판매망을 가지고 있으며, 해외 판매 확대를 위해 미국,인도네시아, 중동 등 해외 대리점이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5 보성파워텍 006910 금속 조립구조재 제조업
- 1970년 11월 설립되어 발전소, 변전소 철골 및 송배전 기자재 등 전력 산업에 사용되는 기자재 개발 및 제작,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 중인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 주력제품은 가스개폐기, 송전철탑, 발전소용 철골 등으로 동 제품을 안산공장과 충주공장에서 생산하여 한국전력공사를 중심으로 한국수력원자력, 케이티 등으로 공급 중.
- 신고리원자력발전소, 고성화력발전소 관련 철골을 비롯하여 2016년 6월 말 기준 57,751백만 원의 수주잔고 보유 중임.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6 우리기술 032820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제조업
- 2008년 원자력발전소의 핵심 기술인 분산제어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원전 사업 및 플랜트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2029년까지 기존 11기 원전에 신규 원전 2기가 준공될 예정인바, 성장 모멘텀 확보.
- 동사의 사업부는 원전, 플랜트, 철도 부문의 시스템 사업부와 면사 유통 및 구매대행의 신규 사업부, 임대 및 품질검증 사업부로 구성됨.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7 비에이치아이 083650 증류기,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제조업
- 보일러, 복수기, 열교환기, 탈수기 등의 발전설비 제조와 시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 경남 함안에 본사 및 2개 공장을, 경남 사천에 공장을 두고 있음.
- 주요 매출처는 한전을 비롯한 전력회사와 발전 사업자, 대형 건설사, 포스코 등 제철 업체들이며, 그 밖에 해외 전문 업체나 EPC 업체에 판매함.
- 인도네시아 생산법인 PT Bum Woo Heavy Industry INDONESIA와 태국 판매법인 BHI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8 조광ILI 044060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
산업용 밸브 생산업체로 조선기자재, 원자로설비, 석유화학플랜트, 건설기자재 등에 사용되는 특수밸브와 일반밸브를 생산, 판매.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9 한국전력공사 015760 발전업
개성공단에서 대북 송전을 하고 있음. 16년2월 우리 정부가 북한 핵실험/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개성공단 폐쇄.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0 광명전기 017040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 수배전반, 태양광발전 시스템, 임대 사업 등의 제조, 판매, 용역 제공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사업부는 수배전반 부문, 전력기기 부문, 태양광발전 시스템 부문, 임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및 아시아 지역에서 매출이 발생.
- 종속기업으로 케이엠씨(배전반, 개폐기 등 중개영업), 광명태양광(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건설, 관리 및 유지보수) 등을 보유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1 한양이엔지 045100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관련 기술 서비스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유틸리티 설비 및 관련 장비 제조 업체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설비에 필수적인 고순도(UHP) 특수가스설비 및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2 오르비텍 046120 기술 시험, 검사 및 분석업
- 원자력 사업본부, ISI 사업본부, 항공 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3년 항공기 정밀 부품 제조업에 진출하였음.
- 원자력 사업부는 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선안전관리, 방사성폐기물 규제해제, 방사선 계측 사업 및 관련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ISI 사업부는 원자력발전설비 및 비파괴 기술 검사 등을 함.
- 국내 항공기 제조 업체인 (주)이스트와 동반 파트너로 안정된 항공 산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보잉사 등 직접 수주를 통해 해외 물량 확대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3 세한엔에스브이 095300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
- 전방 산업인 석유화학플랜트 시황 부진에 따른 산업용 밸브 내수 판매 감소로 전년대비 외형 축소.
- 원재료비 감소 등에 따른 원가부담 경감으로 적자폭은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99%가량의 과중한 원가 구조 등으로 적자 지속.
- 순손실 지속에도 토지재평가이익 유입으로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의 자기자본력을 보인 가운데 여전히 차입금 의존도 과중한 수준.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4 한솔신텍 099660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 한솔그룹 계열의 석탄화력보일러, CFBC, HRSG 및 산업용보일러 등의 발전설비 제조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이 외에 산업설비 제조와 용역(서비스, 수리)을 제공함.
- IHI와의 기술제휴 및 Envriothem과의 CFBC 기술제휴를 근간으로 석탄화력보일러, 산업보일러 등 다양한 유형의 보일러에 대해 우수한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 순환유동층(CFB)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가스화 원천기술 확보로 국내외 특히, 동남아시아시장의 중소 규모 분산형 발전 사업에 참여하는 데 긍정적 효과로 작용.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5 우진 105840 산업처리공정 제어장비 제조업
- 계측기 관련 기술력을 응용하여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가 핵심 사업이며, 이 외에 철강 산업용 자동화장치, 설비진단 시스템, 유량계 및 유량 시스템, 신소재를 사업으로 하고 있음.
- 산업용 계측기의 개발 및 제조에 주력해온 계측 전문 업체로, 국내 최초로 계측 전문연구소를 설립하여 산업용 계측기의 표준화와 국산화를 위해 많은 투자를 진행해옴.
-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한국지노(주), (주)우진엔텍, (주)에쓰브이씨, 한국나가노(주), (주)효명이엔지 등 계측기기 제조 및 판매 업체와 주물 금형 제조 업체 등을 보유.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6 웰크론강원 114190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 1976년 2월 설립되어 산업용 설비, 화공설비, 발전플랜트 설비 설계 및 제작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 2015년 8월 폐기물 가스화 발전 사업, 폐기물 고형연료화 사업 영위 업체인 제주그린파워를 연결대상 종속기업에 포함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부문 추가.
- 산업용플랜트설비는 산업용보일러(수관식보일러, 보조발전보일러), 환경에너지설비(폐열 회수설비, HRSG), 화공설비(황회수설비 외)로 구분되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대형 EPC 기업임.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7 대림산업 000210 토목 건설업
- 1939년 설립되어 토목, 건축, 플랜트 등의 공사를 수행하는 건설 사업과 폴리에틸렌 제품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1999년 NCC 사업을 분사하여 한화석유화학과 여천 NCC를 설립, 엔지니어링 사업과의 시너지 및 건설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대림엔지니어링을 흡수합병함.
- 주요 종속기업으로 대림자동차공업(주), 대림씨엔에스(주), 오라관광(주), 대림에너지(주), Daelim Saudi Arabia Co., Ltd. 등을 보유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8 GS건설 006360 단독 및 연립주택 건설업
수도권고속철도(수서-평택) 제3-2공구건설공사, 수도권고속철도동탄~평택간전력설비신설공사 시행.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19 태웅 044490 금속단조제품 제조업
- 1987년 설립되어 풍력발전, 플랜트 산업, 조선업, 발전, 산업기계 등 수요 산업에 소요되는 핵심 단조 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자유형단조 사업 영위 업체임.
- 자유형 단조품은 조선 및 선박엔진용, 풍력 설비, 발전(원자력), 산업플랜트용, 산업기계용으로 구분되며, 풍력 설비 단조품이 2016년 반기매출의 60%가량을 차지함.
- 수익성을 제고하고 일괄생산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2013년부터 약 5년간 4,500억 원을 부산화전산업단지 내 전기로 제강 사업에 시설투자 진행 중.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0 대우건설 047040 아파트 건설업
수도권 고속 진행철도 컨소시엄에 참여.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1 S&TC 100840 증류기,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제조업
- 2008년 2월 (주)S&T홀딩스의 제조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열교환기 및 배열회수보일러의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음.
- 석유화학, 석유정제 및 가스 플랜트에 사용되는 공랭식열교환기와 복합화력발전소용 배열회수보일러,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용 복수기, 탈질설비 등을 주로 생산함.
- 모든 제품에 대한 자체 설계 및 제작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력제품인 공랭식열교환기의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2 현대건설 000720 도로 건설업
수도권 고속 진행철도 컨소시엄 참여.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3 효성 004800 합성섬유 제조업
- 화학 섬유류의 제조, 가공 및 판매, 수출입업 및 대행, 전자기계 기구 및 부품의 제작/판매업 그리고 전기기기 제조 및 판매업과 토목건설업, 금융업 등을 영위.
-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등의 부문을 통해 매출을 확보하는 가운데 산업자재와 중공업의 매출 비중이 높은 수준이나 고른 매출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스판덱스의 Creora 부문에서는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베트남, 브라질 등 해외 공장 증설로 경쟁력 유지.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4 나라케이아이씨 007460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1971년 설립되어 가열로, 제철설비, 환경에너지 설비 등 플랜트 설비 제작과 하드페이싱(금속표면경화육성) 등의 유지보수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업체임.
- 하드페이싱, 제철·화공플랜트가 주력 사업부문으로 하드페이싱은 POSCO를 중심으로 제철소, 화력발전소, 시멘트 공장이 주 거래선이며, 제철·화공플랜트는 국내외 제철소가 주요 시장임.
- 국내 하드페이싱 업계를 선도해왔으며 꾸준히 물량 증가하면서 현재 하드페이싱 국내 1위(POSCO 물량의 80% 담당, 국내 전체 물량의 60-70% 차지)를 유지 중.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5 LS산전 010120 변압기 제조업
그린에너지 사업(태양광, 전기자동차 전장부품, 전력 IT /Smart Grid, 초전도 한류기, 친환경 전력기기, 전력용 반도체, HVDC(초고압직류송전), RFID 등)을 신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 중.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6 하이록코리아 013030 1차 철강 제조업
- 발전설비, 석유화학, 조선해양, 반도체 등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 판매 업체로 미국, 중국, 네덜란드 소재 해외 판매법인을 두고 있음.
- 주력제품은 유압용 밸브, 초정밀 피팅으로 주 거래선은 선주사, 정유시설, 플랜트, 발전시설의 시공사인 가운데 거래 업종 중 석유화학플랜트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30-40% 수준.
- 우수한 제품 경쟁력으로 국내 계장용 피팅 시장점유율 1위 유지 중.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7 성광벤드 014620 강관 제조업
- 1980년 2월 금속관 이음쇠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
- 동사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는 금속 관이음쇠 제조 및 판매 업체인 (주)화진피에프가 있으며, 지분율 100%를 보유하고 있음.
- 순익 시현을 통한 자기자본 확충 및 일부 차입금 상환을 통하여 자기자본비율 87.34%, 유동비율 609.77%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나타내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8 태광 023160 강관 제조업
- 1982년 설립되어 부산시 소재 본사 녹산공장 및 화전 제1, 2 공장을 두고 Elbow, Tee, Reducer 등의 각종 배관자재, 관이음쇠류 제조 및 판매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석유화학, 정유, 발전 및 조선 업체가 주 수요처로 직간접 수출(미국, 유럽, 동남아, 중동 지역)을 하거나 국내는 직판 또는 대리점을 통해 판매하는 가운데, 2016년 반기 기준 수출 비중은 76%임.
- 주요 제품의 재질 다양화로 특수강 분야와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여 스테인리스 및 비철 등 계열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29 금화피에스시 036190 전기 및 통신 공사업
- 발전소 건설을 위한 플랜트 사업과 완성된 발전소의 경상정비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종속기업을 통해 자동차 부품 제조업을 병행함.
- 발전소 경상정비 시장은 한전KPS가 점유율 1위를 차지고 있으며, 그 밖에 동사를 비롯한 민간 정비 업체 6개가 경쟁하는 것으로 알려짐.
-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인 안성전기, 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 업체인 맥스파워, 발전설비 유지/보수 업체인 필리핀 GEUMHWA PSC INC.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0 HRS 036640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 실리콘 고무 제품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규소,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특수 실리콘 소재를 개발,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실리콘 고무는 자동차, 전기, 컴퓨터, 의료 등 모든 산업에 걸쳐 그 수요가 분포되어 있으며 기업들의 가격 심화 경쟁으로 친환경 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미러블형 실리콘 고무 시장에서 중국 로컬 업체들은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저가로 공급하고 있으나 동사는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시장의 50% 이상 시장점유율 확보.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1 비엠티 086670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
- 유압용 정밀피팅, 밸브 등 배관자재를 제조하는 피팅/밸브 사업과 분전반, 지능형전력감시/통제 시스템 등 전기 및 통신자재를 생산하는 전기 사업을 영위하는 코스닥시장 상장업체임.
- 매출 품목인 배관자재와 전기통신자재는 국내외 반도체, 조선/해양플랜트, 발전(원자력), 석유가스 플랜트 건설 및 각 설비에 공급되고 있음.
- 지능형 전력측정/감시 시스템인 스마트아이 모니터링 시스템 상용화에 성공, 스마트그리드 및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영업을 확대하면서 에너지 사업으로 영역 확장.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2 일진파워 094820 전기 및 통신 공사업
- 발전소 경상정비 용역업,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울산 울주군 온산읍 산암로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종속기업 (주)일진에너지를 통해 화공기기의 제작 및 플랜트 설비시공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건설 업체 및 EPC 업체들임.
- 발전소 경상정비 시장은 한전KPS가 점유율 1위를 차지고 있으며, 그 밖에 동사와 금화PCS 등 민간 정비 업체 6개가 경쟁하는 것으로 알려짐.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3 이엠코리아 095190 금속 절삭기계 제조업
국내 최대 수준의 CNC 선반 생산업체. 공작기계 구성품 가공에서 시작된 기술력으로 공작기계 완제품 및 핵심 구성품을 설계, 가공, 조립, 검사등 일련의 생산시스템을 확보하여 (주)현대위아에 OEM방식으로 공급.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4 한신기계공업 011700 기체 펌프 및 압축기 제조업
기체 펌프 및 압축기 제조업

|
원자력발전 테마정보제공
35 디케이락 105740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
-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 업체로 2010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경상남도 김해시 소재 본사 및 공장을 운영 중임.
- 취급 제품은 조선, 정유시설 등 대형 플랜트에 주로 사용되며, DOW, Gazprom, 현대중공업, 두산엔진 등 300여 개 거래처에 제품을 공급 중, 2016년 반기 매출의 64%는 수출임.
- 해외시장의 경우 전 세계 46여 개국 84개의 대리점(동사의 제품만을 판매하는 조건)을 5개 권역으로 나눠서 미주 지역과 유럽 지역, 중동, 아시아 2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관리 중.

|
|
|